
조선화 원장이 말하는 30대 여성 '자궁근종'한의학
자궁근종은 자궁 내에 발생하는 양성종양이다. 여성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으로 자궁암과는 구별이 되며 35세 이상의 여성의 40~50%에서 나타난다.
발생위치에 따라서 특별한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30대 이후의 여성들에게서 생리가 길어진다거나 양이 많아지고 덩어리가 나오기도 하며 하복부에 딱딱한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생리통, 하복통, 요통, 빈혈, 부정기적인출혈, 압박감, 변비, 피로감, 부종 등이 나타난다면 한 번쯤 근종을 의심하고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한방에서 자궁근종을 돌처럼 딱딱하게 굳어진다 하여 ‘석가’라고 칭한다. 원인은 스트레스나 차가운 기운에 손상을 받아 혈액순환에 장애가 생기면 어혈이 결성되어 돌과 같이 단단한 덩어리를 형성하는데『동의보감(東醫寶鑑)』에 “석가라는 것은 포(胞) 가운데가 접촉된 후 피가 뭉친 소치이다” 하였다. 최근 무분별한 유산이나 수술로 인한 후유증도 근종발생을 촉진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치료는 자궁 내에 쌓여 있는 어혈과 노폐물을 풀고 기와 혈의 순환을 원활히 해주어 최대한 자궁근종의 성장 속도를 늦추며 성장을 정지시키고 수축을 도모하게 된다. 특히, 부인병의 경우 병의 원인이 자궁에 있으므로 실제 자궁과 직접 연결되어있는 여성의 외음부(질)에 한방좌약을 삽입함으로써 실제 자궁과 골반내의 어혈과 노폐물을 배설하는데 효과적인 치료법을 활용하고 있다.
일명 외치법으로 당귀, 오령지, 오수유, 천초, 괴화 등의 한약재가 활용되며 소화기를 거치지 않고 직접 환부에 약효가 직접 전달됨으로 기존의 한방치료에 있어 내복약의 복용이 어렵거나 부담스러운 환자에게 있어 좋은 치료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 이러한 치료를 통해서 근종을 수술하지 않고 증상개선하며 오히려 건강한 생활습관을 회복하여 폐경까지 유지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여성미한의원에서는 자궁근종의 진행이 빠르거나 증상이 심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게 되는 경우, 폐경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자라는 경우 등 수술이 불가피한 상황이 아니라면 원인이 되는 자궁골반내의 혈액순환을 도와 자궁이 정상적인 수축과 순환을 통해서 생리혈과 노폐물을 풀어감으로 근종의 더 이상의 진행과 악화를 막고 근종으로 인해서 유발되는 생리상의 통증 및 관련증상을 개선해감으로 자궁이 정상적인 생리와 임신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해 갈 수 있도록 조절하고 돕게 된다.
한의학에서는 자궁을 여성의 아름다움과 건강에 꼭 필요한 기관으로 보고 수술이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라면 전신의 기혈을 돕고 신경을 안정시키는 요법을 통해 자궁근종의 원인이 되는 여성호르몬의 불균형을 해소하므로 건강을 보존하게 된다.
여성미한의원 조선화원장은 "자궁근종은 무엇보다 자기관리가 중요하다"며 인스턴트 음식이나 냉한 음식을 피하고 적절한 식생활을 하며 항상 아랫배를 따뜻하게 유지하고 유산소 운동과 충분한 휴식을 함으로써 자궁근종을 예방할 수 있다"고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