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의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자궁근종”
한의학에서 자궁근종을 ‘징가’, ‘석가’라 하는데, 이는 자궁에 차가운 기운이 들어 기와 혈이 상하면 자궁의 혈과 기가 통하지 않아서 뭉치게 되어 덩어리져 혹처럼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자궁근종은 개개인의 체질과 증상에 따라 그 근본 원인과 환경을 개선해주면 더 이상의 진행과 악화를 막고 자궁의 기능적인 건강을 유지해줄 수 있다. 이것이 자궁근종의 한방치료원리이며 자궁은 물론 관련된 오장육부의 건강을 함께 살펴 조절하게 됨으로 몸이 건강해져 수술후의 재발방지에도 큰 도움이 된다.
자궁근종의 치료는 먼저 자궁 속에 쌓인 어혈과 노폐물을 없애고, 자궁을 따뜻하게 하여 울체된 기화 혈을 푸는 것부터 시작한다. 여성미한의원에서 자궁근종은 내복약과 더불어 한방좌약요법, 한방좌훈요법, 침과 뜸요법으로 치료한다.
한방좌약요법으로는 질점막을 통해 직접 흡수되어 빠르게 그 약효를 원하는 곳에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좌훈 요법은 한의학에서 훈증법에 해당하는 것으로 약물을 물에 끓여서 수증기를 쏘이는 방법을 말한다. 한방좌훈이나 한방좌약법은 오랜 옛날부터 여성들의 산후, 혹은 자궁에 문제가 있을 때 썼던 산부인과적 처방이다.
여성기 깊숙한 곳에 한약재의 김이 스미게 하여 여성질환을 직접 치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성호르몬의 분비와 조절을 돕는다. 약 기운이 풍부한 뜨거운 김은 강한 살균력을 지니고 있어 환부나 여성기관에 직접 영향을 미쳐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여성미 한의원의 조선화 원장은 “한방좌약요법 같은 경우 한방좌훈이나 반신욕과 함께 사용할 경우 흡수율이 더 높아지므로 필요에 따라 병행을 하는 것이 좋다” 고 조언한다.
침과 뜸은 자궁 및 관련된 경락에 시행하므로 해당 장기로의 기혈순행을 촉진하고 사기를 없애주어 여성의 자궁골반내의 환경을 좋게 해준다.
여성미 한의원의 조선화 원장은 자궁 근종을 예방하는 생활 습관을 몇 가지 소개한다.
► 성장호르몬이 들어있는 식품인 육류의 기름진부위, 우유 등은 삼가는 것이 좋다.
► 평소 차고 냉한음식,기름진 음식, 인스턴트 등을 제한하고 담백하고 따뜻하게 음식을 섭취(생선,살코기,두유,콩,미역,김,해조류)한다.
► 적당한 유산소 운동(런닝,조깅,등산)으로 스트레스를 풀고 하체순환을 도와준다.
► 하루 한시간 정도의 하복부 찜질이나 15-30분 정도의 반신욕,좌훈,족욕을 통해서 골반순 환을 도와준다.
►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여 변비를 예방한다.
► 꼭 끼는 옷은 피하고 헐렁하게 입는다.
► 긍정적인 마음가짐과 적극적인 생활태도는 인체의 기혈순환을 도와 면역성을 높이고 자 연 치유력을 증가시켜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