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 수술하지 않고 치료할 수 있을 까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김영임 작성일10-07-08 13:50 조회880회

본문

결혼전에는 그렇지 않았는데(결혼 전에도 성관계는 하였습니다.)

09년 12월 5일 결혼을 하면서... 12월은 괜찮았는데,

1월부터 ~ 현재까지(7월)



생리 예정일 전 3~4일 길게는 일주일 정도 갈색혈을 띄었고,

일주일이 지난 후 본격적인 생리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같은 증세가 6개월간 지속 되어...

산부인과에 갔더니... 점막하근종(내막하근종)이라고 하여

수술을 필요로 합니다.



꼭 수술을 해야하는지 궁금하고요....

수술을 한다면... 비용은 얼마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꼭 수술을 안해도 된다면... 

한방 치료방법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부탁드립니다.

치료비용은 얼마정도 들까요?



만약 치료를 하게 된다면... 불임 관련에서도 치료를 받아야 할것 같습니다.

답변

여성미한의원님의 댓글

여성미한의원 작성일

여성미한의원

<table cellspacing="0" cellpadding="0" width="580" border="0">
    <tbody>
        <tr>
            <td>네.<br />
            자궁근종의 종류중에서 말씀하신 내막하근종의 경우 말 그대로 생리가 이루어지고 임신시 태아가 착상하게 되는 부위인 자궁내막에 근종이 발생한 것으로 크기와 진행상황에 따라서 생리통과 생리량의 증가, 생리전후 분비물의 증가 등 생리상에 문제를 주게되는 경우가 많고 그 증상의 정도를 보아 임신의 가능성과 수술의 시기 등을 결정하게됩니다.<br />
            <br />
            즉 근종의 종류중에서 임신에 제일 많은 영향을 미치게되는 혹입니다.<br />
            <br />
            물론 근종이 있다고 해서 모두 수술을 서둘러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상담자의 경우 처럼 자궁내막에 위치한 혹의 경우 그 만큼 수술을 하게되더라도 자궁내막손상을 유발 할 수 있고 이로 인해서 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이 있는 만큼 수술에 대한 시기를 신중하게 결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br />
            <br />
            현재 생리상의 증상과 정황 등으로 보아서는 아직 수술을 서두르실 상황은 아닌 것으로 사료됩니다.<br />
            <br />
            다만 중요한 것은 자궁근종이 발생하게 되는 자궁골반내의 순환 및 환경을 개선해 더이상의 진행과 악화를 막고 정상적인 생리회복을 통해서 건강한 임신의 성립과 유지를 도와갈 수 있도록 기능적인 건강회복을 위한 치료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고 봅니다.<br />
            <br />
            저희는 한의원이므로 수술을 담당하지는 않아 수술비용에 대한 설명은 어렵습니다.<br />
            <br />
            다만 수술보다는 자궁건강회복을 통한 근종의 유지와 임신을 돕기 위한 기능적인 치료가 이루어지게 됩니다.<br />
            <br />
            가능하다면 한의학적인 상담과 검진을 통해서 치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td>
        </tr>
    </tbody>
</table>

여성미한의원
· 이용약관
여성미한의원
· 개인정보보호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