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선근종 근종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 작성일15-07-03 00:25 조회978회

본문

36세이구요 2년전에 근종8cm,선근종 3Cm 있었어요.생리통이너무심하고 생리기간도 너무길고 생리후에 열흘정도생리통있음.그래서 . 작년2월에 자궁근종 복강경으로 수술했어요. 선근종은 수술을할수없고 크기가작으니깐 의사선생님께서 지켜보자고하셨거든요. 몃달후에 초음파해보니 근종이 하나더 생겼는데 6개월후에 재검사해보니 2cm로 줄었다고하셨어요. 결국 선근종과 작은근종이 있는거지요..
그런데 수술전에있던 생리기간에있는 생리통은 많이좋아졌는데 생리기간이9일정도.양은 이틀만 많고 그뒤로는적어요.그런데 생리시작일로부터 일주일부터 열흘정도는 생리통인지 배란통인지 기분나쁘게아파서 많이 힘드네요..병원서 진통제 주고 운동많이하라고만 하셨구요 특히 오른쪽 배가 지속해서 아프더라구요. 오른쪽배아플때 오른쪽무릎도같이 아프고 바늘로 찌르는통증도있구요..진통제먹어도 잘 안받네요.생리가끝난후부터 통증이 하루종일아픈게아니라 5시간정도 아프다가 괜찮다가 또아프고그러네요 한방치료로 가능할까요

답변

여성미한의원님의 댓글

여성미한의원 작성일

[답변]자궁선근종 근종

네.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종 모두 자궁의 근육층에 발생하는 질환들로 생리통의 원인이 됩니다.
그 중 자궁벽자체가 두꺼워지고 굳어가는 질환인 자궁선근종의 경우 통증의 양상은 생리기간외에 전후로 자궁이 수축운동을 하는 동안 7-10일정도를 지속하게 됩니다.
해서 현재 생리기간이후에 발생한 통증은 자궁선근종으로인한 증상으로 보시면 됩니다.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종의 발병환경과 원인은 다르지 않습니다.
즉 매달 생리를 통해서 정상적으로 배출되어야하는 생리시 어혈과 노폐물이 자궁내에 정체되면서 자궁의 근층내에 혹 처럼 뭉쳐져서 발생하는 질환이 자궁근종이며 근층내로 스며 들어 자궁의 벽자체가 두꺼워지고 굳어가는 질환이 자궁선근종입니다. 자궁근종의 경우 진행되거나 그로 인해 유발되는 생리상의 증상들이 심해질 경우 수술이 가능하지만 자궁선근종의 경우 수술이 불가하므로 대부분 양방에서는 선근종을 진단한 이후로도 특별한 치료는 없으며 경과만을 지켜보거나 최대한 환자 스스로가 관리 잘 하고 이후 생리상에 유발되는 통증이나 출혈로 인한 빈혈 등이 심해질 경우 자궁적출수술을 진행하게 됩니다.

상담주신 분의 경우 다행히 근종제거후 일정부분 생리통이 경감되셨지만 중요한 것은 수술이후라도 근본적으로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종이 발생해서 진행되게된 자궁골반내의 환경 밋 순환장애상황등의 기능적인 건강이 개선되지 못할 경우 동일한 이유로 재발의 가능성은 물론 선근종의 악화와 진행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입니다.

한의학적인 치료의 경우 발생한 혹 자체를 공격하거나 수축시키기위한 외형상 변화를 목적으로 하기보다는 발병환경과 원인이 되는 자궁골반내의 차고 냉한 환경 및 그로 인한 순환장애상황 등을 개선홰 두꺼워진 자궁벽 및 근종을 부드럽게 연화시켜 자궁이 정상적으로 생리를 조절하고 배출해 갈 수 있도록 돕게됩니다.
찌르는 듯한 통증 및 무릎이하로 이어지는 통증 또한 자궁이 위치한 하복부를 비롯해 하체로의 혈액순환장애가 원인이 되므로 치료과정을 통해 순환이 개선되면 좋아질 수 있습니다.

통증을 진통제로만 버텨가기보다 통증의 근본적인 원인(자궁질환)을 찾아 개선해 발병장기(자궁)의 건강을 회복해가려는 치료와 노력에의 시간이 반드시 필요하며 한방치료가 이러한 과정을 돕게 될 것입니다.

가능하다면 내원하셔서 한의학적인 상담과 검진과정을 통해서 구체적인 답변 및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여성미한의원
· 이용약관
여성미한의원
· 개인정보보호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