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이후 선근종치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손미자 작성일13-12-20 11:26 조회1,369회본문
그 후 피검사 및 초음파 결과 자궁선근증 진단을 받은 상태입니다.
의사 선생님께서는 증상 악화 방지를 위해 루프를 넣자고 권유하시는데요.
임신도 다시 해야하고 다시는 유산의 고통을 겪고 싶지않습니다.
언제쯤 한약을 먹는게 좋고 치료기간은 얼마나 걸릴지?
비용은 어느정도 드는지 궁금하네요.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
여성미한의원님의 댓글
여성미한의원 작성일
[답변]유산이후 선근종치료
네.
일반적으로 자궁근종과 자궁선근종이 있는 상황에서 임신을 하게되면 초기 3개월 즉 태반이 완성되기 전인 15주까지는 안정하면서 경과를 보아야 합니다. 즉 임신초기 3개월동안에는 임신호르몬의 영향으로 평소 근종상황이나 선근종의 크기가 진행되기 때문이며 이러한 원인으로 임신유지에 어려움이 생겨 유산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18주에 유산이 되셨다면 그 만큼 이후 자궁에도 무리가 많이 되셨을 것이고 선근종상황도 많이 진행되셨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자궁선근종은 매달 생리를 하면서 정상적으로 배출되어야 하는 생리혈이 자궁내에 정체되면서 자궁의 근육층내로 스며들어 자궁벽이 두꺼워지고 굳어가는 질환입니다. 하여 진행되면서 생리시 자궁이 수축할때마다 생리통이 심하고 생리시 출혈량이 많아 통증과 출혈의 정도가 심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경우 가임여성들에게는 불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출산을 마친 여성들에게는 자궁적출의 직접적인 이유가 됩니다.
글쎄요.
현재 상담주신 분의 경우 선근종의 크기가 어느 정도이시며 그로 인해서 유발되는 생리상의 증상과 현재의 자궁상황이 어떠하신지가 궁금합니다. 이에 따라서 치료기간과 치료상황을 통해서 임신의 가능성 등을 가늠하고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 중요한 것은 유산이후의 자궁조리와 회복을 통해서 임신전의 상황으로 자궁선근종상황과 자궁기능이 회복되어야하는 부분입니다. 오히려 미레나 등으로 인위적인 호르몬조절을 통해서 자궁난소를 노화시켜간다면 자궁의 기능적인 손상으로 임신에 대한 가능성은 더욱 낮아지게될 것입니다.
치료기간은 개인차가 있으며 3-6개월정도 경과를 보게됩니다.
개개인의 자궁건강상황을 살펴 드시는 내복약으로 조절하게 되며 한 달에 한 번씩 경과를 확인하게 됩니다. 힌약의 복용시기는 수술후 2-3일부터 가능하니 현재상황에서는 복용가능하십니다.
아무쪼록 자궁건강회복을 통해서 바라시는 건강한 임신에 힘이 되어드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