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중 자궁 근종에 대한 치료 방법 문의

페이지 정보

작성자 wook 작성일06-05-16 13:20 조회612회

본문

임신 19주된 임산부 입니다.
산전검사에서, 임신에 영향이 없는 위치의 3-4cm 자궁근종 2개를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특별히 다른 치료를 받지 않고 임신을 하였습니다.

그러나, 18주 되었을때,
근종의 심한 통증으로, 자궁 수축이 와서 병원에 입원을 하게 되었습니다.
치료는 진통제 타이레놀과, 수축 억제제 닝겔을 통해 치료 하여
5일째 되는날 퇴원 하였구요.
산부인과에서는 근종의 사이즈에 변화가 없는데도, 심한 통증과 자궁 수축이 온 특이한 경우라 하셨습니다.

산부인과에서는 임신중에는 근종을 근본적으로 치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고 하는데,
질문1) 임신중에도 한방으로 근종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방법과
질문2) 저는 부작용 없는 타이레놀도 오래 동안 먹으면 피부 발진이 일어납니다. 피부 발진 없는 한약 진통제가 있는지
질문 드립니다.

답변 부탁드릴께요
감사합니다.

답변

여성미한의원님의 댓글

여성미한의원 작성일

여성미한의원

임신중에는 근종에 촛점을 두고 치료할 수 없습니다.
즉 근종이 있는 상황에서 임신이 되었을 경우 우선 긍종자체가 태아가 착상하는 내막에 인접해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열 달간 자궁내에서 안착해 정상적인 성장을 할 수 있도록 자궁내환경을 개선하는데 목적을 두며 분만이후 자궁수축과 산모태아의 회복을 도와 기능적으로 안정을 찾도록 도와주게 됩니다.
즉 쉽게말하면 안태에 목적으로 두고 치료하게 됩니다.

현재 근종의 크기에는 변화가 없는상황에서 통증이 온다는 것은 특이한 경우로 보기보다는 자궁의 기능적인 부분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즉 근종으로 인해서 자궁내로의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나타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미혼여성들에있어 근종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자연히 자궁순환이 회복되고 기능적으로 안정되어 결혼 후 건강한 임신과 분만을 하게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담자의 경우 근종발생의 원인과 환경을 안정시키고 회복시켜주지 못한 상황에서의 임신이되어 태아이 성장과 자궁상황이 불안정한것으로 사료됩니다.

가능하다면 좀 더 구체적인 상담과 치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여성미한의원
· 이용약관
여성미한의원
· 개인정보보호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