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선근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오명기 작성일18-01-18 02:05 조회1,195회본문
답변
여성미한의원님의 댓글
여성미한의원 작성일
네.
자궁선근증은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진 자궁벽이 생리시 자궁이 수축하는 과정에서 자궁내막을 압박해 과도한 생리량을 유발하게되고 이로 인해서 빈혈의 원인이 됩니다.
또한 자궁수축과정에서 심한 생리통을 함께 겪게 되기도 합니다.
해서 자궁선근증의 진행정도 및 수술시기를 가늠하게되는 기준은 크기보다는 관련증상과 일상생활에 미치는 정도입니다.
양방에서는 진통제와 철분제로 통증과 빈혈을 조절하지만 대부분 시간이 지나 점차 증상이 심해지게 되고 결국에는 자궁적출을 하게됩니다. 중요한 것은 통증과 빈혈의 원인이 되는 자궁의 생리조절기능이 회복되어야 만이 진행과 악화를 막고 폐경까지 자궁을 보존해 가실 수 있는 것입니다.
자궁선근증의 한방치료는 발병환경과 원인이 되는 오랜시간동안의 골반내 혈액순환장애 및 이로 인한 자궁의 생리조절기능약화를 개선해 정상적인 자궁조직은 더욱 활성화하고 선근증으로 인해서 굳어진 자궁벽은 부드럽게 연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관련생리증상을 개선해 가고 진행과 악화를 막으며 가임기여성들에게는 임신의 가능성을 높여가고 출산을 마친 여성들의 경우 폐경까지 자궁을 보존해 가실 수 있도록 돕게 됩니다.
물론 모든 경우에 있어 한방치료가 수술을 대체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궁선근증으로 한의원 진료를 보셨고 진료하신 선생님께서 셍리량이 많은 상황 및 그로 인한 빈혈상황 등을 고려해 녹용을 함께 처방하신 것으로 사료됩니다.
녹용의 경우 일반적으로 보약의 대표약재로 진료를 통해 자신의 정확한 체질과 건강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약재를 첨가해 달여 드시는 경우가 많으며 이로 인한 부작용들도 많습니다.
우려하시는 것처럼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증 등 자궁질환이 있을 경우 임의복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그러나 상담주신 분의 경우처럼 정환한 진단과 진료 후 환자분의 상태를 고려해 다른 약재와 함께 처방되어진 경우라면 걱정하지 않고 복용하셔도 되며 자궁선근증 치료기간이 3-6개월 정도임을 감안할때 치료과정 중의 생리변화와 자궁건간상황을 살펴 그에 따른 처방이 가감조절 될 것이니 진료하고 처방하신 원장님을 믿고 정성껏 복용하시기 바랍니다.
치료 중 궁금하신 사항이나 변화 등에 대해서는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원장님께 상담요청해 해결해 가신다면 치료효과에도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아무쪼록 자궁건강 잘 회복해 가시기를 기원하겠습니다.^^